新華網韓國語
시진핑 타이임

(특별기획) '중한호조(中韓互助)', 中공산당과 韓독립운동의 역사적 교차점

출처: 신화망 | 2021-07-01 13:01:31 | 편집: 박금화

[신화망 베이징 7월1일] 올해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이자 '중·한 문화교류의 해'(2021~2022)가 시작되는 해다. 중국공산당이 창설된 1921년은 중화민족이 국난을 겪던 시기였다. 당시 한민족 역시 일본 제국주의 식민통치 하에서 신음하고 있었다. 한국의 수많은 애국지사들은 중국을 거점으로 민족 독립운동의 횃불을 밝혔다.

항일투쟁의 역사 속에서 중국 공산당원과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공동의 적 앞에서 서로 손을 맞잡았다.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는 중국공산당과 한국은 그 인연이 깊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 특히 충칭(重慶) 시기에 저우언라이(周恩來) 등 중국공산당의 혁명가들은 김구 선생 등 한국 독립운동가와 우의를 다졌다. 이같은 교류와 협력은 중·한 수교 이후 중국공산당과 한국 여야 각 정당과의 우호관계 수립에 기반을 제공해왔다.

신화통신 기자는 최근 중국 내 여러 역사적 현장을 직접 찾아가 한국 근대 독립운동사 속에서 중국공산당과의 교차점을 조명했다.

◇상하이-자싱(嘉興), 역사의 우연한 일치

김승호 주상하이 한국 총영사는 최근 홍색 관광버스를 타고 상하이의 주요 '홍색 랜드마크(공산당 유적지)'를 둘러봤다.

김 총영사는 국가 간 교류는 국민 간 마음의 거리에 달려 있고, 마음의 거리는 얼마나 서로 마음이 통하는지에 달려 있다면서 이번 홍색 버스 탑승으로 중국 인민의 마음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 축하 인사와 함께 이번 홍색 랜드마크 여행을 통해 중국공산당의 창당 역사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총영사는 공산당의 지도 하에 인민이 함께 분투한 결과 중국이 오늘날과 같은 성과를 거두게 됐다며 상하이가 바로 그 분투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김승호 주상하이 한국 총영사가 홍색 버스에 오르고 있다. (사진/왕샹 기자)

1921년 7월 23일 마오쩌둥(毛澤東), 둥비우(董必武) 등 중국 각지에서 온 초기 공산당 조직 대표들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의 한 스쿠먼(石庫門∙상하이의 전통 건축 양식) 건물에 은밀히 집결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를 개최했다. 당시 프랑스 조계지의 순경에 의해 회의장이 발각되자 대표들은 어쩔 수 없이 회의를 중단했다. 이어 8월 초 자싱 난후(南湖)로 이동해 유람선에서 회의를 재개했다.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중국공산당 창당이 정식으로 선포됐다. 이때부터 중국공산당 혁명의 불씨가 타올라 전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주중 외교 사절단이 지난 6월 16일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기념관을 방문했다. 이날 40여 개국의 주중 외교 사절단이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와 상하이시위원회의 초청으로 상하이를 방문해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개최지와 기념관을 둘러봤다. (사진/우위 기자)

공교롭게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역시 1919년에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서 수립됐다. 이는 1910년 한일합병 후 처음으로 수립된 망명정부였다. 임시정부는 1926년부터 1932년까지 상하이 황푸(黃浦)구 마당(馬當)로에 위치한 한 스쿠먼 건물을 청사로 사용했다. 이는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 개최지에서 직선거리로 300m도 채 안 되는 곳에 위치했다.

1932년 4월 29일, 한국의 윤봉길 의사가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에서 일본 군을 향해 폭탄을 투척했다. 그 사건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에서 철수해 5월 항저우(杭州)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훙커우 폭탄 의거를 이끌었던 김구는 자싱으로 몸을 피했다.

이후 김구는 일본군의 추포를 피해 자싱에서 이곳저곳을 전전해야만 했다. 한때 그는 난후 호숫가 한 척의 배에 몸을 숨긴 적도 있었다. 1935년 가을 김구는 여러 임시정부 요인들을 자싱 난후로 소집해 선상에서 국무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항일 독립을 위한 계획을 도모하기도 했다.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장성(長生)로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저우 구지(舊址) 기념관'이 2007년 11월 30일 문을 열었다. 사진은 2007년 12월 1일 촬영한 기념관 정문. (사진/신화통신)

◇창사(長沙), 공동의 적에 맞선 협력의 장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32년 항저우·전장(鎮江)을 거쳐 난징(南京)으로 이전한 후 1937년 말 창사에 둥지를 틀었다.

사실 중·한 지식인들은 양국이 힘을 합쳐 외적에 대응해야 하는 필요성을 훨씬 일찍 절감했고, 이에 중국과 한국의 우호단체인 중한호조사(互助社)를 각지에서 결성했다.

1921년 3월 중국공산당 혁명가인 마오쩌둥, 허수헝(何叔衡)은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에서 중한호조사를 설립했다. 중한호조사는 일본 침략에 반대하는 한국의 민족 독립 투쟁을 적극 지원했다.

창사 중한호조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전원이 후난 지역에서 반일 선전 활동을 펼치는 데 물질적으로나 도의적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했다.

한국 독립운동 지도자인 김구를 기리기 위한 '김구 선생 창사(長沙) 진열관'이 2006년에 창사시 웨루산(嶽麓山) 관광지에서 개관했다. 2006년 4월 4일 한 남성 관광객이 진열관 내 김구 선생의 조각상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리가 기자)

우수근 한중글로벌협회 회장은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창사 중한호조사를 비롯한 중국 각지의 중한호조사는 당시 한·중 양국의 항일 공동투쟁에 큰 버팀목이 되었다"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소속 한국인 독립운동인사들도 이를 또 하나의 거점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창사 중한호조사의 옛터가 자리한 촨산학사(船山學社)는 현재 중국 문물보호 기관의 관리 하에서 외부에 개방됐다. 우 회장은 "한·중 양국의 소중한 우호와 연대의 상징으로서 이 옛터를 한국 사회에도 적극 알려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시 촨산학사(船山學社) 구지(舊址)의 모습. (사진/장위제 기자)

◇충칭, 중·한 우호의 역사적 현장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청사를 계속 서쪽으로 이전하다 1940년 충칭에 이르렀다. 이곳은 1945년 독립하기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중국 청사로 활용됐다. 이 기간에도 중국공산당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옛터) 진열관의 샤쉐(夏雪) 부관장은 신화통신 기자에게 "이곳에서 약 100m 떨어진 곳이 바로 중국공산당 남방국(南方局) 기관지 '신화일보(新華日報)' 영업부의 옛터"라며 "'신화일보'는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의 독립운동 상황을 가장 많이 보도했던 언론"이라고 소개했다.

해방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은 1945년 11월부터 충칭을 떠나 고국땅으로 돌아갔다. 김구의 '백범일지'에 따르면 당시 저우언라이, 둥비우를 비롯한 중국공산당 지도자가 임시정부 국무원 전원을 위해 송별연을 개최해 주었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 진열관 전경. (진열관 제공)

1992년 8월 24일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이 정식으로 수교를 맺었다. 한국 측 인사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이곳은 당시 주민들의 거주지역이자 상업용 부동산 개발 대상 지역이었다.

샤 부관장은 "충칭시 정부는 경제적 손실을 무릅쓰고 기업에 보상금을 지급해 이 터를 보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가급적 원래 형태를 보존하는 방향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해 1995년 8월 정식 개관했다고 밝혔다.

2000년 한국과 충칭 간 하늘길이 열렸다. 중·한 각 분야 교류가 갈수록 활성화되면서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 진열관을 찾는 사람도 점차 늘고 있다. 샤 부관장은 "2010년 이후 관람객이 크게 늘기 시작해 2019년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며 "약 5만 명의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다"고 말했다.

한국 유학생 김민희씨가 지난 5월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舊址) 진열관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많은 한국 관광객이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를 복원하고 보존해 준 중국 정부에 감사를 표했다. 개관 20여 년 동안 관람객들이 남긴 100여 권의 방명록이 바로 중·한 양국의 깊은 우호교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을 방문한 문재인 한국 대통령 역시 2017년 12월 16일 충칭을 찾아 임시정부 구지 진열관을 방문했다. 그는 방명록에 이렇게 적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의 뿌리입니다. 우리의 정신입니다."

원문 출처:신화통신 한국어 뉴스 서비스

기사 오류를 발견시 하기 연락처로 의견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화:0086-10-8805-0795

이메일: xinhuakorea@126.com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0001310038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