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華網韓國語

新華網韓國語 >> 기사 본문

5개국 의원들, “위안부” 해결 위해 손잡다

  • 크기

  • 인쇄

출처 :  신화망 한국어판 | 2015-11-25 16:48:20  | 편집 :  리상화

(자료 사진)

    [신화사 베이징 11월25일] 23일, 미국,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한국의 일부 의원들은 “세계 일부 지역에 존재하는 성노예 정책 및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할 것”이라 발표했다. 그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그 서두를 뗐다.

    상술한 조직의 명칭은 “성노예 피해자를 위한 국제의원연합(IPCVSS)”이며 이는 일본계 미국인 마이크 혼다 연방 하원의원, 이자스민 리 한국 의원, 멜리사 리 뉴질랜드 국회위원, 조이 스미스 전 캐나다 하원의원 등이 창단맴버로 발기했다고 일본 쿄토통신이 보도 했다.

    이 조직은 성명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은 전시 여성들의 인권문제가 미래에 어떻게 다뤄질지 보여주는 본보기로 될 것이라 밝히면서 “우리의 첫 행동은 사실 발굴을 탐색하고 관련국가의 정부가 정식(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여성들을 ‘위안부’라는 성노예로 동원한 것) 사과를 하도록 호소할 것”이라 전했다.

    혼다는 교토통신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노력이 정책의 제정자가 ‘옳은 일’을 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길 희망한다”고 피력하면서 “이는 (일본)정부가 역사의 죄행을 인정할지 (여부)에 관계된다”고 부언했다.

    역사학자의 통계에 따르면 2차세계대전기간, 일본은 조선반도에서 일본군을 위한 약 20만명의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동원했다. 앞서 한국은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을 상대로 사과와 배상을 진행할 것으로 요구했으나 일본정부는 1965년 양국관계 정상화의 “한일청구권협정”에 근거했을때 이 문제는 이미 해결된 상태라 완강히 주장해왔다.

    여기서 특히 언급해야할 것은 혼다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향한 호소와 노력을 줄곧 바쳐왔다는 점이다. 그는 일본의 전쟁죄행에 대한 아베의 회피는 놀랍고도 수치스러운 행위라 규탄하면서 아베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해 사과를 보이지 않는 것은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이며 이는 “받아들일수 없는 태도”라 비난했다.

    [“오로지 일본정부의 몫”]

    일본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최대한 빨리 해결할 것을 촉구한 미국 의원은 혼다 한명뿐이 아니다.

    24일, 마이클 켈리 미국 참의원은 일본정부가 관련절차를 신속히 가동할 것을 촉구하면서 “위안부” 문제 책임의 해결은 “오로지 일본정부의 몫”이라 지적했다.

    이날 한국 서울에서 열린 싱크탱크활동에 참석한 켈리는 연설을 발표하여 “일본은 우선 행동을 취해 현안으로 남아있는 ‘위안부’ 문제를 허심하게 처리하라”고 호소했다.

    “우리는 (‘위안부’) 생존자들이 치유, 화해와 존엄을 얻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고 켈리는 지적하면서 “이는 오로지 일본정부 지도자의 태도에 달렸다. (그들은) ‘위안부’ 문제를 철저히 처리하고 해결해야만 한다”고 피력했다. [글/ 신화사 기자 옌지에(閆潔), 번역/ 신화망 한국어판]

 

추천 보도:

24명 “위안부” 사진 상하이서 공개, 1년 내 4명 별세

韓,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절대 “과거식”이 아니다

010020071350000000000000011103401348540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