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馬耳東風)
◎글자풀이: 말 마(馬), 귀 이(耳), 동녘 동(東), 바람 풍(風)
◎뜻풀이: 동풍(東風)이 말의 귀를 스쳐 지나간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충고를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을 형용하는 말이다. "소귀에 경 읽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유래:
사자성어 "마이동풍"은 이백(李白)의 장편시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즉 "추운 밤 홀로 잔을 드는 왕십이의 감회에 답하노라"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다.
이백에게는 왕십이(王十二)라고 부르는 불우한 생활을 하는 벗이 있었다. 한번은 왕십이가 추운 밤에 혼자 술을 마시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다가 느낀 바를 시로 엮어 이백에게 보내왔다.
"푸른 산을 둘러싸고 뜬구름이 하염없이 이어져 있고
그 하늘 가운데 외로운 달이 흐르네.
외로운 달은 추위에 못 이겨 빛나고
은하수는 맑고 북두칠성은 흩어져 깔려 있다네.
밤하늘의 별들이 밝게 빛나네."
이에 이백은 왕십이에게 만고의 시름을 잊어 버리자며 장단구를 섞은 긴 시로 화답했다.
"인생은 백년을 가지 않고 허무한 것
당신과 같이 고결하고 출중한 인물은 지금 세상에서 어울릴 수 없음이 당연한 일 아니겠는가.
지금 세상은 투계(당나라 때에 귀족들 사이에서 즐겨했던 닭싸움)의 기술이 뛰어난 인간들이 천자의 귀여움을 얻어 뽐내고 돌아다니고
만적의 침입을 막아 서푼어치의 공을 세운 인간들이 충신인양 거드름을 피우고 있는 세상이라네.
이러한 세상에서 자네나 나나 그런 자들을 흉내 낼 수는 없지 않는가
차라리 해볕이 들지 않는 북창에 기대어 시를 읊고 노래나 지어보세.
그러나 우리의 시가 아무리 훌륭하고 만방에 미치는 걸작이라 할지라도 지금 세상에서는 한 잔 맹물만큼의 값어치 조차 없다네.
세인은 이 말을 듣고도 머리를 흔드니 동풍(東風)이 마이(馬耳)를 스치는 격이구려."
중국은 무(武)보다는 문(文)을 더 높이 숭상하는 나라였기에 글의 힘이 한 나라를 기울게도 했고 일어서게도 했다. 위대한 문인들은 저마다 커다란 포부를 가슴 속 깊이 간직하고 있었으며 특히 이백과 같은 대시인은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의 말에도 현실은 마이동풍이였다.
이백은 계속하여 시를 읊조렸다.
"어목(魚目)이 우리를 비웃고
감히 명월과 같기를 청하누나.
옥석이 뒤섞이고 우현(愚賢)이 전도된 이것이 오늘날의 세상이다."
이백은 생선 눈알과도 같이 어리석고 비열한 무리들이 명월과 주옥과 같은 자신들의 존귀한 지위를 탐내니 시인에게는 제 아무리 높은 감투라 해도 애초에 벼슬자리 따위가 상대가 아니라고 말하며 어린 시절부터 산을 타고 들을 거니는 것이 우리들의 소원이 아니더냐며 왕십이를 위로하였다.
이백의 시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마이동풍"은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 지나간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충고를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된다.
추천 기사:
오늘의 성구 "고산유수(高山流水)" '매우 친한 친구간의 우정, 미묘한 음악'